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떡의 유래 & 영어 표기법
    카테고리 없음 2019. 9. 18. 00:39

    떡의 유래 & 영어 표기법

    개인적으로 저는 떡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어렸을때 부터 떡을 접할수 있는 기회가 많지가 않았습니다. 



    게다가 떡을 잘못 먹고 심하게 체한적이 있어서 떡에 대한 트라우마가 아직까지 남아 있습니다.

    주위를 살펴보면 떡을 심하게 좋아하는 사람들을 쉽게 찾을수가 있는데요. 소위 떡돌이, 떡순이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떡은 언제부터 생겨나서 먹기 시작했을까요? 떡의 유래 간단하게 살펴 볼까요?

    떡을 먹기 시작한 시기는 유적지에서 발굴된 여러 형태의 시루들을 통해서 알수 있습니다. 청동기 시대의 유적지인 함경북도 나진시에 있는 조개더미에서 양쪽에 손잡이가 있고 바닥에 여러개의 구멍이 뚫려있는 등의 여러 모양의 시루들이 발견 되었는데요. 



    그 당시에는 쌀의 생산량이 적었기 때문에 쌀 보다는 보리, 조, 수수, 피 등의 가루를 시루에 쪄서 떡으로 만들어 먹지 않았을까 추정하고 있습니다.

    삼국시대로 넘어 와서는 벼 농사의 발달로 쌀의 생산량이 많아져 쌀로서 떡을 많이 먹었다고 합니다.


    불교가 번성한 고려시대에는 육식을 절제했기 때문에 떡을 곁들여 차와 함께 먹는 풍습이 유행하기도 했구요.

    하지만 떡의 종류, 맛, 색깔까지 떡이 가장 발달했던 시기는 조선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요리와 관련된 서적에는 인절미, 계피떡, 팥 시루떡, 전병, 백설기 등 다양한 떡의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우리가 즐겨먹는 떡의 제조법은 조선시대에 확립되었다고 볼수 있겠죠.

    지금은 예전처럼 이웃들과 떡을 나누어 먹던 문화는 거의 찾아볼수 없지만 여전히 떡 문화는 생활속에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떡 영어로 뭐라고 할까요?

    Rice cake(쌀 케이크)라고 합니다. 쌀로 만든 케이크라는 뜻이죠.

    그럼 송편 영어로 어떻게 표기할까요?

    발음 그대로 하면songpyeon으로 표기하고 또 다른 표현으로는 half-moon-shaped rice cake 이라고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